육각 구멍붙이 멈춤나사 (KS B 1028-90, JIS B 1117-1997) 나사의 앞쪽 끝을 축 등에 밀어 박아 부품을 고정하거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하여 쓰이는 나사. 나사를 밀어 박음으로써 나사 끝에 발생하는 마찰저항으로 두 물체 사이에 상대운동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나사이다. 풀리나 플라이휠 등을 축에 부착할 때 많이 쓰인다. 머리 모양에 따라 홈붙이, 구멍붙이, 사각머리붙이가 있다. 나사의 앞쪽 끝 부분의 형상은 거친끝, 모떼기끝, 둥근끝, 납작끝, 반막대끝, 막대끝, 온뾰족끝, 뾰족끝, 오목끝, 날끝 등이 있다. 나사의 호칭 피치 P df (약) e 최소 S t 최대 납작끝 dp l 호칭 (기준치수) 최대 최대 1난 2난 최대 (기준치수) 최소 납작끝 M1.6 0.35 수 나 사 의 골 지..
분할 핀 (KS B 1321-90, JIS B 1351-1987)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핀으로 핀 전체가 갈라져 너트를 감쌀 수 있다. 볼트의 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구멍을 뚫고 분할 핀을 끼우고 끝을 벌려 너트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 자동차의 허브 너트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호칭경 d c b a 길이l 적용볼트 및 핀(을 초과 이하) 핀구멍지름 볼트 크레비스핀 0.6 0.5 1 2 1.6 4~ 12 2.5이하 2이하 0.6 0.8 0.7 1.4 2.4 1.6 5~ 16 2.5~3.5 2~ 3 0.8 1 0.9 1.8 3 1.6 6~ 20 3.5~4.5 3~ 4 1 1.2 1 2 3 2.5 8~ 25 4.5~5.5 4~ 5 1.2 1.6 1.4 2.8 3.2 2.5 8~ 32 5.5~ 7 5~ 6 1..
평행 키 (KS B 1311-99, JIS B 1301-1996) 호칭 치수 b×h 키의 치수 키홈의 치수 참고 b h C l b1,b2 기준 치수 정밀급 보통급 r1 및 r2 t1의 기준 치수 t2의 기준 치수 t1, t2 허용차 적응 하는 축경 d 기준 치수 허용차 기준 치수 허용차 b1및b2 b1 b2 허용차 허용차 허용차 2x2 2 0 -0.025 2 0 -0.025 h9 0.16 ~ 0.25 6~20 2 -0.006 -0.031 -0.004 -0.029 ±0.0125 0.08 ~ 0.16 1.2 1.0 +0.1 0 6~8 3x3 3 3 6~36 3 1.8 1.4 8~10 4x4 4 0 -0.03 4 0 -0.030 8~45 4 -0.012 -0.042 0 -0.030 ±0.0150 2.5 1.8..
스냅링[Snap Ring] 멈춤링 혹은 리테이닝링(retaining ring)이라고도 하며, 축이나 보스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기계요소이다. 축에 링홈을 내서 사용하는 외접링과 보스에 링홈을 가공하여 사용하는 내접링이 있다. 스냅링은 비교적 작은 장소에 부착할 수 있어 기기의 소형화나 간략화에 도움이 된다. C형 멈춤링 - 축(S) (KS B 1336-85, JIS B 2804-78) 호칭 멈춤링 사 용 하 는 축 (참 고) d3 t b 약 a 약 do 최소 d5 d1 d2 m n 1 2 3 기준 치수 허용차 기준 치수 허용차 기준 치수 허용차 기준 치수 허용차 최 소 10 9.3 ±0.15 1 ±0.05 1.6 3 1.2 17 10 9.6 0 -0.09 1.15 +0.14 0 1.5 11 10.2 1.8..
U 볼트 (KS V 3032-84, JIS F 3022-1978) U형의 볼트를 말하며, 각 볼트 끝 부분에 너트가 끼워져 주로 파이프 등을 고정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위 차축과 판 스프링을 고정하는 곳에도 사용된다. A형 호칭치수 적용하는 강관의 외경 U 볼트 받침대 R d1 d2 A 형 B t L P S d3 H E 100 114.3 59 16 M16 141 50 65 8 202 134 35 19 125 139.8 72 16 M16 167 50 65 8 228 160 35 19 150 165.2 85 16 M16 192 50 65 8 254 186 35 19 175 190.7 98 16 M16 218 50 65 8 280 212 35 19 200 216.3 111 20 M20 249 60 75 9 ..
베어링 너트 (KS B 2004-97, JIS B 1554-1966) 베어링이 진동 등으로 인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어링 와셔와 함께 사용되며 일(一)자형 드라이버나 스패너로 조여 부품을 눌러서 베어링을 고정하는데 사용한다. 너트계열 AN (어댑터, 떼어내기슬리브 및 축용) 참 고 호칭번호 나사의 호칭 D1 기 준 치 수 어댑터 슬리브의 내경번호 축경 (축용) D3 D4 g S T D6 Bn r (최대) AN 02 M 15x1 25 21 21 4 2 15.5 5 0.4 - 15 AN 03 M 17x1 28 24 24 4 2 17.5 5 0.4 - 17 AN 04 M 20x1 32 26 28 4 2 20.5 6 0.4 4 20 AN 05 M 25x1.5 38 32 34 5 2 25.8 7 0...
육각 머리너트 (KS B 1012-86, JIS B 1181-1993) 스패너로 돌리기 쉽도록 머리모양이 육각형인 너트를 육각너트라고 총칭한다. 한 면에서 대응면까지의 거리는 스패너가 물 수 있는 치수이다. 너트의 두께나 모따기의 유무 등에 따라 5종류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체결용으로 널리 쓰이는데, 관통 너트, 탭너트, 스터드너트와 세트로 쓰는 경우가 많다. 나사의 호칭 (d) H B C (약) D (약) 보통나사 가는나사 상 M 2 - 1.6 4 4.6 3.8 (M 2.2) - 1.8 4.5 5.2 4.3 M 2.3 - 1.8 4.5 5.2 4.3 M 2.5 - 2 5 5.8 4.7 M 2.6 - 2 5 5.8 4.7 M 3x0.5 - 2.4 5.5 6.4 5.3 M 3.5 - 2.8 6 6.9 5..
육각 캡 너트 (KS B 1026-90, JIS B 1183-1994) 캡너트는 한쪽 끝이 막혀 있는 모양의 너트로, 나사부 바깥은 사각형ㆍ육각형ㆍ팔각형ㆍ십이각형ㆍ원형 등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막혀 있는 부분은 원뿔형ㆍ돔형 등으로 되어 있다. 캡너트는 주로 볼트가 보이지 않게 하여 외관을 좋게 하거나, 누설 방지 등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1종 나사의 호칭 (d) m1 m3 S b1 A' (최소) T1 (최소) e (약) R (약) r (약) M 4x0.7 9.5 3.2 7 3.2 5.6 0.5 8.1 3 0.5 M 5x0.8 11 4 8 4 6.6 0.5 9.2 3.5 0.5 M 6 12 5 10 5 8.5 0.5 11.5 4.5 0.5 M 8 15 6.5 13 6.5 11..
육각 렌치 볼트 (KS B 1003-90, JIS B 1176-1988) 육각구멍붙이볼트는 머리의 크기가 육각 볼트보다 작고, 재질도 강도가 높아서 좁은 개소에서의 체결이나 볼트머리를 집어 넣을 때 쓰인다. 체결 시에는 육각봉 스패너를 사용한다. 육각렌치 볼트라고도 불린다. MM 규격 나사의 호칭 P b dk da 최대 ds e 최소 f 최대 k r 최소 S t 최소 v 최대 dw 최소 w 최소 길이 ℓ 최대 (기준 치수) 최대 최소 최대 (기준 치수) 최소 최대 (기준 치수) 최소 호칭 (기준 치수) 최소 최대 1난 2난 M1.6 0.35 15 3 3.14 2.86 2 1.6 1.46 1.73 0.34 1.6 1.46 0.1 1.5 1.52 1.56 1.545 0.7 0.16 2.72 0.55 2.5 ..
육각 머리 볼트 (KS B 1002-86, JIS 1180-1994) 두부가 6각형으로 된 볼트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볼트이다. 형 태 나사의 호칭 d d1 H B C 약 D 약 R (최소) da (최대) k 약 자리붙이 머리일때 S 길이 ℓ 보통나사 가는나사 h 약 D1 최소 l≤125일때 130~220 l≥220일때 육각볼트 상 M3x0.5 - 3 2 5.5 6.4 5.3 0.1 3.6 0.6 12 5~32 (M3.5) - 3.5 2.4 6 6.9 5.8 0.1 4.1 0.6 14 5~32 M4x0.7 - 4 2.8 7 8.1 6.8 0.2 4.7 0.8 14 6~40 (M4.5) - 4.5 3.2 8 9.2 7.8 0.2 5.2 0.8 16 6~40 M5x0.8 - 5 3.5 8 9.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