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CAD & 설계 Tip

스프로킷 PCD 공식 설명

.가끔은 2018. 2. 6. 23:23
반응형

스프로킷 공식에 대하여...

 

  • 기어, 풀리, 스프로킷,, 대표적인 구동 연결 장치 입니다.
  • 그중 스프로킷 P.C.D 공식엔 
    는 없고 sin 만 있습니다. 
    에 대한 공식인데 sin 이 들어갈까..
  • 공식의 과정을 이해하면 원형 제품 배열할때 써먹을수도 있을것 같아,,
    제가 찾은 방법을 작성 해봅니다.

 

이해하기 쉽게 6각형로 들겠습니다.

알고있는 값은 Pich , X 각 2가지 입니다.

 

P.C.D = Pich / Sin(180/잇수) 이 공식에서 유추할수 있는건 삼각비 입니다.

 

 

 

 

 

 

 

 

아래 초록색 선이 구할 P.C.D거리, 하늘색이 Pich, 파랑색이 보조선입니다.

저 삼각형의 싸인 삼각비를 이용해 공식을 만들었다 생각됩니다.

 

 

 

 

 

 

 

싸인 각도는 빗변 분에 높이 입니다.

삼각형을 다시 그리면

 

빗변길이 공식 = 높이/Sin각도

P.C.D = Pich / Sin(α) 이렇게 됩니다.

P.C.D = Pich / Sin(180/잇수) 이것과 비슷해졌지요,,

 

α 각은 180/잇수 라는걸 유추할수 있습니다.

 

 

 

위 그림 다시 보시면 참고 삼각형 α과 잇수x의 각

원주각과 중심각 관계입니다. α각은 중심각의 1/2인 각입니다.

 

원주각과 중심각에 대해 좀더 설명이 필요하신분은 아래 링크 참조 바랍니다.

http://mathbang.net/186

 

 

P.C.D = Pich Sin(180/잇수)

그럼 최종적으로 원하는 공식이 나왔습니다.

 

알고나면 쉬운 공식이지만 이런 공식을 처음 생각해낸다는게 참 대한한듯 합니다.

 

반응형

'CAD & 설계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lidEdge 실린더 조립 팁  (1) 2018.02.11
SolidEdge 원점으로 정렬시키는법  (0) 2018.02.07
SolidEdge 대칭 형상 설계 팁  (0) 2018.02.06
SolidEdge 도면 파트리스트 관리  (0) 2018.02.06
SolidEdge Cable Veyor  (0) 2018.02.06
댓글